Surprise Me!

[자막뉴스]우크라이나 침공 여파 '비명'..."한국 상황 더 악화할 듯" / YTN

2022-03-08 3 Dailymotion

세계 곡물 시장은 기후 위기로 생산량이 줄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지난해 이미 가격이 20% 이상 오른 상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단일국가로는 밀 수출 세계 1위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악재가 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도 밀은 5위, 옥수수는 4위 수출 국가입니다. <br /> <br />아직 직접적인 수출 통제까지 가지는 않았지만 흑해 연안의 항구가 제 역할을 못하면서 수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세계 3대 곡물인 밀과 옥수수, 콩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밀은 서방의 스위프트 제재 이후 시카고 곡물 시장에서 연일 상한가를 기록 중입니다. <br /> <br />곡물 거래 단위인 1부셸당 가격은 스위프트 제재 직전 8.6달러에서 11.34달러까지 올라 불과 4거래일 만에 31% 폭등했고, 옥수수 가격도 14%나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밀 가격은 역대 최고 수준이고, 옥수수는 지난 2012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입니다. <br /> <br />[황병진 /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 : 전세계 밀 생산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영향력이 약 30% 정도 수준이고, 러시아산 공급이 없어지면 공급 쇼티지(부족)가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다 라니냐의 영향으로 남미지역에 2년 연속 가뭄이 계속돼 콩 생산이 급감한 것과 최근 해상운임과 환율이 오른 것도 곡물 수입 단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 수입 곡물은 70%가 사료로 쓰이고, 나머지 30%는 식품의 원재료로 사용합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곡물 도입 가격 상승은 축산과 가공식품의 가격 상승 압박으로 작용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[김지연 / 농촌경제연구소 해외농업관측팀장 : 수입 단가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요. 지금 현재 시점에 이런 상황들이 우리나라에 반영되는 데는 최소 3개월에서 5개월이 걸릴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가 길어져 곡물 가격이 계속 치솟으면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미 오를 대로 오른 국내 물가는 상황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곡물 가격 급등은 중동 등 다른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 요소로까지 번질 수 있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도 한층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30817070996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